동관 파이프는 일반적으로 위생배관, HVAC, 냉매배관 등에 사용된다.
높은 가격임에도, 내식성 내구성 열전도율 등의 동관의 강점이 사용되는 이유라고 할 수 있겠다.
그런데 막상 구매를 하려고 보면 동관에 L,K,M 같은 타입이 존재하는데, 이 타입들이 뭔지 기록해본다.
우선 두께를 가지고 보면 K> L>M K가 제일 두껍다.
1. L
일반적으로 동관이라고 했을 때, 대표대는 제품은 L타입이다. 소방배관, 위생배관, 냉장 시설 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는 된다. 경질과 연질로 구분되고, Soldering Brazing, Compression fitting, Flare Fitting으로 연결 할 수 있다. 노출배관으로도 사용이 가능. 유연성도 가지고 있다.
2. K
영구적인 강도 또는 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열처리(annealed)된 동관.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어 굽힘이나 성형에 용이해서 대부분의 배관용도로 사용한다. L형에서 사용하는 접합방법을 모두 사용가능하며, 두껍기 때문에 상수도 매설배관에 사용을 할 수 있다. 단, 천연가스에서는 접합부에 대미지를 줄 수도 있기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.
3. M
L,K 보다 얇은 동관이다. 위 두가지 타입에 적용가능한 모든 접합은 가능하지만, Flaring은 두께가 얇기 때문에 플레어 가공중에 손상의 가능성이 있어서 누수 발생할 수 있다. 이때문에, 플레어링 접합 사용을 지양하는 것이 좋다. 그리고 모든 건축물에서 M 타입의 사용을 허락하는 건 아니기 때문에, 해당 프로젝트에서 M이 사용 가능한지를 먼저 확인하는 게 좋다. 위생 가지관 정도에는 사용 가능하다.
끝.
'플랜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oldering, Brazing (0) | 2025.06.26 |
---|---|
P 넘버?, F 넘버?, M 넘버? A넘버? (1) | 2025.06.25 |
용접 결함 - Undercut(언더컷) (0) | 2025.05.26 |
용접 결함 - Slag Inclusion(슬래그 섞임, 혼입) (0) | 2025.05.26 |
용접 결함 - POROSITY(기공) (0) | 2025.05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