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PS, PQR 작성중 P넘버, F넘버 등의 란이 보일 것이다.
해당 카테고리는 뭘 의미하는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남겨본다.
1. 우선 P넘버는 모재(베이스 메탈)에 대한 것이다.
P넘버의 사용 목적은 "유사한 화학적, 기계적, 용접 성질을 같은 금속을 그룹화 해서 용접 및 브레이징 WPS의 자격 요건을 줄이기 위함"이라고 나와있다.
표기 방식은 P + 숫자(예를 들어, P-No.1). 여기에 WPS가 다른 요건에 따라 인성 시험을 받아야 할때 쓰이는 그룹도 있다.
예를 들어, P no.1 group no.1 이나 P no.1 group no.2 등이 있다.
예를들어, 흔히 많이 쓰이는 스틸, 알로이 스틸은 P넘버 1~ 15에 분포한다.
P 넘버 예시
<출처 ASME Section IX>
ASTM M 넘버라는 게 존재하는데, P 넘버와 같이 베이스 메탈의 분류와 그 밑으로 그룹이 존재한다.
2. F 넘버는 용접봉과 전극봉에 대한 설명이다.
아래는 ASME에서 설명하는 F넘버에 대한 개요.
The following F-Number grouping of electrodes and welding rods is based essentially on their usability characteristics, which fundamentally determine the ability of welders to make satisfactory welds with a given filler metal.
(다음 F-번호 전극 및 용접봉 그룹은 본질적으로 사용성 특성을 기반으로 하며, 이는 용접사가 주어진 용가재로 만족스러운 용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근본적으로 결정합니다)
F 넘버 역시 목적에 있어서 용접 절차 및 성능 자격 심사 횟수를 논리적으로 줄일수 있는 것에 있다라고 나와있다.
Electrode 와 Welding Rod에 추가적으로 설명을 하자면,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이 2개의 용어를 섞어서 쓰는데, 작은 차이가 있음을 적어 보려고 한다. 간단하게 설명해서 소모성이냐 비 소모성이냐로 나눌 수 있겠다. Electrode 라고 하면 전극봉이고, Welding Rod라고 하면 녹아서 간격을 채우는 용가재라고 할 수 있다. Electrode는 더 넓은 범위라는 걸 알 수 있다. 예를 들어 Stick Welding에서 Welding rod 역시 용가재이면서, 소모성 전극봉이라고 할 수 있고, TIG용접에서 아크를 일으키는 텅스텐 부분도 전극봉이라고 할 수 있다. 다만, TIG 용접에서 텅스텐 부분은 비소모성 전극봉이라고 할 수 있겠다. 따라서, Electrode안에 Welding Rod가 포함되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.
<F넘버 예시>
<출처 ASME Section IX>
3. A 넘버는 절차 적격성 평가를 위한 용접 금속 분류.
이 번호는 ASME 보일러 및 압력용기 섹션에서 정한 번호.
아래는 A 넘버.
<출처:AWS B2.1/B2.1M:2009-ADD1>
WPS PQR 작성함에 앞서, 위 기본적인 내용을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한다.
끝.
'플랜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oldering, Brazing (0) | 2025.06.26 |
---|---|
Copper pipe L, M, K (0) | 2025.06.26 |
용접 결함 - Undercut(언더컷) (0) | 2025.05.26 |
용접 결함 - Slag Inclusion(슬래그 섞임, 혼입) (0) | 2025.05.26 |
용접 결함 - POROSITY(기공) (0) | 2025.05.26 |